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구글 애널리틱스4 용어 체크하시고 분석하세요 11편

구글 애널리틱스4(GA4)

by 런칭박스 2023. 1. 26. 18:02

본문

 

1편 > 구글 애널리틱스4 세팅

2편 > 구글 애널리틱스4 캠페인

3편 > 구글 애널리틱스4 세그먼트

4편 > 구글 애널리틱스4 탐색

5편 > 구글 애널리틱스4 리마케팅

6편 > 구글 애널리틱스4 이벤트

7편 > 구글 애널리틱스4 측정 기준 측정항목

8편 > 구글 애널리틱스4 보고서

9편 > 구글 애널리틱스4 맞춤 보고서

10편 > 구글 애널리틱스4 사용자 ID

11편 > 구글 애널리틱스4 용어

 

구글 애널리틱스4에 대해서 여러 차례 안내를

드리면서 최대한 중요하고 자주 사용되는

기능들 위주로 소개해 드렸는데요, 오늘은

구글 애널리틱스4 용어에 대해서

안내드리는 시간을 가져보도록 하겠습니다.

 

데이터를 수집한다고 해도 용어를 몰라

분석이 어렵다면 보고서를 본다고 해도

원하는 정보를 얻는 데에는 한계가

있을 수 있으니 용어 리스트를 확인하시면서

보고서를 함께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구글 애널리틱스4 기본 용어 알아보기

■ 구글 애널리틱스4 용어 - 기본 용어.

기본 용어에 대해서 이해를 끝내셔야

다른 추가적인 용어들을 활용하시는데

훨씬 편하실 테니 꼭 체크하시기 바랍니다.

*다른 용어들을 살펴보면 더 확실하게

감이 잡히시겠지만 용어가 반복됩니다.

 

 

1. 세션

 

GA4를 활용하시면서 가장 많이 듣게 되실 단어.

ㄴ 사이트나 앱에서 사용자가 활동한 시간을 의미.

ㄴ 기본 설정은 30분.

사용자 액션이 확인되지 않을 시 새로운 세션으로 간주.

예) A라는 사용자가 방문 후 잠시 떠났다가

30분 내로 돌아오게 되면 하나의 세션으로 인식.

 

 

2. 사용자 수

 

특정 기간 동안 내 사이트 또는

앱에서 방문한 사용자의 수를 의미한다.

ㄴ 최초 세션의 방문자는 새로운 세션 및 사용자로

인식되지만 만약 기간 내 동일한 사용자가 추가로

발생하는 세션은 추가 세션으로 집계되고,

추가 사용자로는 집계되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서

기간 설정 : 23.01.01 ~ 23.01.31

상황 설정 : 동일한 사용자 추가로 발생.

세션 : 추가 세션으로 집계.

사용자 : 추가 사용자로 집계 X.

 

 

3. 페이지뷰 수

 

페이지가 조회된 수.

ㄴ 사용자가 새로고침을 하거나 다른 페이지를

탐색 후 돌아오면 추가 페이지뷰 발생으로 간주.

순 페이지뷰 : 페이지가 한 번 이상 조회된 세션 수.

 

 

4. 이탈

ㄴ 페이지에 유입된 사용자가 상호작용 없이

그대로 페이지를 떠난 것을 의미한다.

ㄴ 세션을 시작한 페이지를 기준으로 한다.

이탈률 : 시작한 세션에서 그대로 떠난 비율.

 

 

5. 종료

ㄴ 특정 페이지에서 사용자가 떠난 것을 의미.

ㄴ 세션의 시작이 기준이 되지 않는다.

ㄴ 고로, 이탈과 종료는 다른 의미를 가진다.

종료율 : 사용자가 페이지를 떠난 비율.

 

 

6. 세그먼트

ㄴ 일종의 데이터 필터를 의미하나 데이터

중에서도 하위 집단으로 이해하면 쉽다.

> 세그먼트 자세히 알아보기

 

 

7. 소스

출처 : 네이버, 다음, 구글

 

ㄴ 검색엔진으로 트래픽이 유입된 위치를 의미.

예) naver, daum, google 등

 

 

8. 매체

 

소스를 세분화한 것을 의미.

ㄴ 소스가 검색 엔진을 의미한다고 한다면

매체는 엔진 내에서 "어떻게" 유입되었는지를 의미.

예) 자연 검색, 유료 검색 등

 

 

9. 이벤트

콘텐츠와 사용자 간의 상호작용을 의미.

예) 파일 다운로드, 영상 재생, 광고 클릭 등.

> 이벤트 자세히 알아보기

 

 

10. 전환

 

ㄴ 우리가 목표하고 있는 사용자 액션의 끝.

ㄴ 온라인 혹은 오프라인 모두 해당된다.

예) 구매, 회원가입, 완료 등

 

 

 

 

측정 기준 용어 알아보기

7편에서 안내드렸던 측정 기준과 측정항목

다들 기억하고 계실 거라는 생각이 드는데,

각각에 해당하는 용어들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용어들이 전부 영어로 나타나기 때문에

각 용어들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알고

계시면 해석에 큰 도움이 됩니다.

 

 

■ 구글 애널리틱스4 용어 - 측정 기준.

1. 소스 - source.

출처 : 구글 애널리틱스

 

ㄴ 우리가 연결한 웹 사이트 및 앱으로

트래픽을 보낸 검색엔진 또는 도메인.

예) naver, google, daum, facebook 등

 

 

2. 매체 - medium.

출처 : 구글 애널리틱스

 

ㄴ 유입되는 경로를 의미하는데 검색이나

추천 등이 해당하고, 별도로 설정한

내용 없이 자동으로 분류되는 매체는

직접(none), 추천(referral), 자연 검색(organic)

세 가지가 있음을 주의하는 것이 좋다.

예) cpc, display, social, email 등

 

 

3. 자연 검색 - organic.

ㄴ 검색 엔진의 검색 결과 페이지에서

링크를 클릭하여 유입된 트래픽을 의미.

 

 

4. 직접 - direct.

ㄴ 키워드를 검색하는 등이 아니라

브라우저에 URL 자체를 입력하여

유입되거나 혹은 북마크를 사용하여

유입된 트래픽을 의미한다.

 

 

5. 캠페인 - campaign.

출처 : 구글 애널리틱스

 

ㄴ 사용자가 유입되는 광고 캠페인,

검색엔진, 소셜 네트워크 등을 통칭하여

캠페인이라고 하는데 보통은 웹사이트의

운영자가 설정해놓은 마케팅 캠페인 이름.

예) retargeting, product launching 등

> 캠페인 자세히 알아보기 - 2, 5, 6, 7 전부.

 

 

6. 수동 검색어 - term.

출처 : 구글 애널리틱스

 

ㄴ 광고 캠페인 설정 시 매개변수로 등록된 검색어.

ㄴ 검색 광고를 통해 방문한 사용자가 검색한 검색어.

매개변수 ▶ utm_term.

 

 

7. 수동 광고 콘텐츠 - content.

출처 : 구글 애널리틱스

 

ㄴ 광고 캠페인 설정 시 매개변수로 등록된 콘텐츠 값.

ㄴ 비슷한 콘텐츠나 링크를 구분할 때 사용함.

매개변수 ▶ utm_content.

예) 배너 광고 사이즈, 콘텐츠 배포 날짜 등.

 

8. 사용자 획득 - user acquisition.

ㄴ 사용자가 처음 방문했을 때 유입 경로.

매개변수 ▶ first_visit.

 

9. 트래픽 획득 - traffic acquisition.

ㄴ 재방문까지 포함하여 사용자가

방문했을 때의 유입 경로를 의미.

매개변수 ▶ session_start.

> 사용자, 트래픽 획득 자세히 알아보기 - 8,9.

 

 

 

 

측정항목 용어 알아보기

■ 구글 애널리틱스4 용어 - 측정항목.

1. 사용자 - users.

ㄴ 하나 이상의 이벤트를 트리거 한 사용자 수.

 

 

2. 새 사용자 수 - new users.

ㄴ 내 사이트와 처음 상호작용한 사용자 수

▶ 측정 기준의 사용자 획득 참고.

 

 

3. 세션수 - sessions.

ㄴ 사이트에서 시작된 세션 수

▶ 측정 기준의 트래픽 획득 참고.

 

 

4. 참여 세션수 - engaged sessions.

출처 : 구글 애널리틱스

 

ㄴ 10초 이상 지속되었거나,

ㄴ 전환 이벤트가 1회 이상 발생했거나,

ㄴ 페이지 조회수가 2회 이상인 세션 수

▶ 액션을 기준으로 생각하면 이해가 쉽다.

 

 

5. 참여율 - engagement rate.

출처 : 구글 애널리틱스

 

ㄴ 사용자가 참여한 세션의 비율 의미.

▶ 참여 세션수 / 세션수 = 참여율.

 

 

6. 이탈률 - bounce rate.

출처 : 구글 애널리틱스

 

ㄴ 참여하지 않은 세션의 비율 의미.

ㄴ 참여율의 반대.

▶ 참여율 / 세션수 = 이탈률.

 

 

7. 세션 전환율 - session conversion rate.

출처 : 구글 애널리틱스

 

ㄴ 전환한 세션의 비율

▶ 전환이 발생한 세션수 / 총 세션수 = 세션 전환율.

 

 

8. 사용자 전환율 - user conversion rate.

출처 : 구글 애널리틱스

 

ㄴ 전환한 사용자의 비율.

▶ 전환 액션을 한 사용자 수 / 총 사용자 수 = 사용자 전환율.

 

9. 총 수익 - tatal revenue.

ㄴ 구매, 인앱 구매, 정기 결제 및

광고 수익에서 발생한 수익의 총액.

 

 


전체적으로 다시 이해하고 싶다면

구글에서 제공하는 GA4 용어집을

참고하시면 좋습니다. 하단에

링크를 첨부해 드릴 테니 참고하세요.

> GA4 용어집 확인하러 가기

 

보고서를 분명하게 분석할 수 있도록

자주 사용되는 용어들에 대해 정리해 보는

시간을 가져보았는데요, 참고하시면서

데이터 분석하시기 바랍니다.

 

제시요는 IT 아웃소싱 중개 플랫폼으로

▶ 프로젝트 니즈 맞춤형 개발사 매칭.

▶ 기획서 작성을 위한 컨설팅 제공.

▶ 소통을 돕는 개발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

보편적인 IT 아웃소싱 서비스에서

만나볼 수 없는 제시요만의 시스템을 더해

분쟁 가능성은 최소화하고

성공 가능성은 극대화했습니다.

 

제시요의 서비스가 궁금하시다면

링크를 통해 다양한 문의 부탁드립니다.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