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M이라는 직무는 [Product]라는 단어를
사용해 제품이나 서비스 등을 관리하는
업무를 담당하는 직무로 이해하고
계신 분들이 많이 계실 텐데요,
놀랍게도 IT 분야에서의 PM 직무는
다른 의미를 가진다고 합니다.
바로 [Project]를 활용한 진행될 프로젝트에
대한 운영이나 관리를 담당하고 이러한
과정들을 통해 가장 높은 퀄리티의 결과물을
도출해 내는 사람을 의미한다고 합니다.
조금 더 설명하자면, 프로젝트에 관련해
발생할 수 있는 리스크나, 진행 범위,
자원 등을 조절하고 관리하는 업무를
담당하는 사람으로 말씀드릴 수 있죠.
그렇기에 IT PM에게는 필수로
필요한 것들이 존재합니다.
▶ 개발에 관한 전문지식.
▶ 팀원을 통솔할 수 있는 소통 능력.
▶ 방향성 제시가 가능한 리더십.
모두를 갖추고 있는 인재가
담당하는 것이 좋습니다.
결론적으로 IT PM은 프로젝트가
나아가야 하는 목표에 집중하여
이끌어나가는 사람이라고 할 수 있죠.
PM 업무 알아보기
■ 소통
말씀드린 것처럼 PM은 [소통]에 있어서
매우 뛰어난 능력을 보여야 하는 직무인데요,
프로젝트의 전반적인 리더를 담당하기 때문에
중심에서 소통의 허브가 되어야 하고 이때
보여줄 수 있는 능력치가 프로젝트의
성패를 가르기 때문에 정말 중요한 업무입니다.
CEO, 임원진들과 ▶ 프로젝트의 목표에 관해
개발자, 디자이너들과 ▶ 프로젝트의 구현에 관해
마케터, MD 들과 ▶ 프로젝트 운영과 홍보에 관해
고객과 ▶ 실제 사용 시 발생되는 문제에 관해
소통을 한다고 정리할 수 있습니다.
이때 PM은 소통 상대에 맞게 태도를 갖추어야 하죠.
개발자나 디자이너와 함께 소통할 때는
그들의 업무 강도 및 결과물의 밸런스에
포인트를 맞춰 대화할 경우 서로를 이해하고
조율하는데 큰 도움을 받아보실 수 있고,
마케터나 MD와 함께 소통하실 때에는
발생하는 비용적인 면에서 지나치게 날카롭지
않게 소통하시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또한 각각의 상대에 따라 최소한의 용어는
익혀두시는 것이 원활한 소통에 도움이 됩니다.
또한, 본인 자체가 프로젝트에 대한
이해도가 그 누구보다 뛰어나야 합니다.
PM의 프로젝트 이해도는
얼마나 오해 없이 정확하게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가를 판단하기 때문에
매우 중요하게 생각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 일정관리.
PM은 프로젝트 진행 상황을 관리하며
만에 하나 문제나 리스크가 발생할 경우
그를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해결해야
하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기 때문에
[프로젝트]를 기준으로 일정을 관리하는
것이 아니라 전체적인 기업의 흐름과
분위기에 맞게 유동적으로 하지만,
진행에는 무리가 없도록 일정을
관리하시는 것이 중요합니다.
여기서 이야기하는 일정 관리에는
예산 분배 역시 포함되는데요
발생할 수 있는 리스크들을 떠올리고
최대한 피해가 덜하는 방향으로, 만에
하나 발생할 경우 해결할 수 있는 방향으로
예산을 분배해야 하기 때문에 일정을
신경 쓰면서 활용하시는 것이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서 예산을 기준으로 프로젝트 일정을
계획하였으나 기업 내부 이슈로 인하여
계획보다 빠르게 마무리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했다면, 이에 대해 빠르게 인지하고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어야 하죠.
능력있는 PM 되는 방법
■ 부서 이해하기.
아마 앞서 안내드린 내용을 보고
PM 지나치게 힘들겠는데라고
생각하시는 분들 굉장히 많으실 텐데요,
분명한 업무를 가지는 직무는 아니지만
총괄과 리드를 담당하기 때문에
자세히는 아니라고 하더라도
모든 부서에 대해 최소한의 이해는
가지고 계시는 것이 좋습니다.
모든 부서와 소통을 통해 조율해야 하는데
PM 자체가 부서에 대한 이해가 있다면
단순히 업무뿐만이 아니라 부서별로
발생하는 특이사항 등에 관련해서도
이해할 수 있을 가능성이 높아지게 되면서
최대한 원활한 프로젝트 진행을 기대할 수
있게 되기 때문에 사실상 PM이
부서를 파악한다는 것은 최소한의 피해로
프로젝트를 진행한다는 것과 같아집니다.
*노이즈가 적어집니다.
■ 유연성 기르기.
두 번째는 위기 대처 능력을 기르는 것인데요,
쉽게 말해 리스크를 맞이했을 때 이를
유연하게 해결할 수 있는 능력입니다.
기업을 운영하고 프로젝트를 진행할 때
어떤 변수가 나타날지 모르기 때문에
모든 가능성에 대해 열린 생각을 가지고
다양한 플랜을 세워 필요성에 따라
적절한 계획으로 수정할 수 있는
유연성을 기르는 것이 좋습니다.
이렇게 IT PM에 관련하여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았는데요, 모든 기업에
모든 직무의 인력을 충원할 수 없는 것처럼
만에 하나 PM 직무 담당자를 보유하고
있지 않아 프로젝트 진행에 관련해
부담감을 느끼고 계신다면 [제시요]로
많은 문의 부탁드립니다.
IT 아웃소싱 중개 플랫폼 제시요는
맞춤형 매칭 및 기획컨설팅 등을 통해
IT 프로젝트의 원활한 진행을 도와드립니다.
Node.JS 장단점을 알면 왜 앱 개발 시 노드를 사용하는지 알 수 있다 (0) | 2023.03.22 |
---|---|
마케팅 분석 전략 4P 전략 4C 전략 자세히 알아보자 (0) | 2023.03.13 |
2023년 UI/UX 트렌드 알아보고 트렌디한 디자인 합시다 (0) | 2023.03.07 |
반응형 웹 페이지 기획 방법 자세히 알아보고 준비합시다 (0) | 2023.03.06 |
쇼핑몰 창업 준비 이렇게 준비하시면 됩니다 (0) | 2023.03.06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