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구글 애널리틱스4 측정 기준 측정항목 정확하게 이해하셔야만 합니다

구글 애널리틱스4(GA4)

by 런칭박스 2023. 1. 18. 16:52

본문

 

1편 > 구글 애널리틱스4 세팅

2편 > 구글 애널리틱스4 캠페인

3편 > 구글 애널리틱스4 세그먼트

4편 > 구글 애널리틱스4 탐색

5편 > 구글 애널리틱스4 리마케팅

6편 > 구글 애널리틱스4 이벤트

7편 > 구글 애널리틱스4 측정 기준 측정항목

 

이전 시간 이벤트에 관하여 안내드리면서

아주 짧게 측정 기준과 측정항목에 관해

함께 소개해 드리는 시간을 가졌었는데요,

측정 기준데이터가 나눠지는 기준.

측정항목우리가 확인해야 하는 지표.

이렇게 이해하시는 것이 쉬울 거라고 말씀드렸죠.

 

측정 기준과 측정항목에 관하여 안내드린 이유는

GA4의 모든 보고서가 두 가지로 이루어져 있어서

GA4를 더욱 활용도 높게 사용하시려면

이 두 가지가 무엇을 의미하고 어떤 것이 해당되는지를

분명하게 이해하고 계시는 것이 좋기 때문입니다.

그럼 오늘은 구글 애널리틱스4 측정 기준 측정항목

자세히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도록 할게요.

 

 

 

 

GA4 보고서에서의 측정 기준과 측정항목

우선 가장 먼저 기억하셔야 하는 것은

구글 애널리틱스4 측정 기준과 측정항목은

두 가지로 다시 나뉜다는 점입니다.

표준(기본)맞춤으로 나눠지는데

이 부분을 이해하려면 이 전에 소개해 드린

"이벤트"편을 확인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계속해서 반복적으로 GA4가 어떤 툴이라고 말씀드렸죠?

"자동"으로 데이터를 제공하기도 하면서도 "맞춤" 설정 하여

나에게 필요한 정보를 확인할 수도 있는 데이터 분석 툴입니다.

이벤트 역시 표준과 맞춤이 따로 존재하고 있고,

이런 표준 이벤트와 맞춤 이벤트의 보고서를

분석하기 위해 측정 기준과 측정항목이 나눠지는 거죠.

 

 

■ 표준 측정 기준 / 표준 측정항목

출처 : 구글 애널리틱스 / 빨 ▶ 측정 기준, 파 ▶ 측정항목

 

표준의 경우에는 GA4에서 확인할 수 있는

대부분의 보고서에 해당한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만약 여러분들이 보고서를 확인하시다가

데이터를 더 나눠야 한다면 보조 측정 기준을

더해서 적용되는 기준을 더해주실 수도 있고,

혹은 측정 기준 자체를 드롭 다운을 이용해

변경하여 나눠주실 수도 있습니다.

 

보조 측정 기준의 경우에는 적용되어 있는

메인 측정 기준이 무엇이냐에 따라서

달라지니 이 점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출처 : 구글 애널리틱스

 

4편에서 안내드렸던 "탐색" 기억하시나요?

탐색 보고서의 경우 측정 기준과 측정항목이

특히나 더 중요한 보고서인데요, 그 이유는

측정 기준과 측정항목에 대한 이해가 적으면

보고서 구성 자체에 무리가 있기 때문입니다.

 

출처 : 구글 애널리틱스

 

탐색 보고서의 경우에는 측정 기준을 행과 열에

모두 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정확하게 이해하고

설정하셔야 원하는 만큼의 데이터 수집이 가능하고

그렇지 않다면 이해나 분석에 있어서 오히려

악영향이 나타날 수 있으니 꼭 기억해 주세요.

 

그럼 구글 애널리틱스4 측정 기준과 측정항목

더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맞춤 측정 기준 / 맞춤 측정항목

 

맞춤 측정 기준과 맞춤 측정항목을

큰 분류로 나눈 데에는 다 이유가 있죠.

구글 애널리틱스4 측정 기준, 측정항목에

대해서 안내 드릴 때 가장 많이 들어오는 문의는

"매개변수 적용이 불가능하다."라는 이야기입니다.

 

여러분들이 기억하셔야 하는 건,

"측정 기준과 측정항목은 이벤트의 매개변수를

전송하여 값을 가져온다."라는 점입니다.

이렇게만 말씀드리면 이해가 어려우실 겁니다.

그렇다면 이 말은 무슨 말일까요?

 

우리가 GA4에서 활용할 수 있는 이벤트 즉,

GA4 자체에서 제공하는 이벤트들을 사용해

보고서를 만들고 데이터를 확인하는 것은

무리가 없습니다. 왜냐하면 이벤트의

매개변수를 특정되게 설정해야 할 필요가 없고,

GA4에서 설정해둔 그대로 적용되면 되니까요.

 

하지만 여러분들의 필요성에 의해 맞춤으로 설정된

이벤트의 경우에는 상황이 다르다고 할 수 있죠.

새로 이벤트를 맞춤형으로 설정했다거나 혹은

매개변수 설정 시 새로 추가한 내용이 있다면

이에 맞게 "맞춤 측정 기준과 항목"이

생성되어야 이벤트에 대한 매개변수 값이

정확하게 적용될 수 있다는 겁니다.

 

그럼 우리가 지금부터 알아내야 하는 것은

맞춤 측정 기준과 측정항목을 만드는 방법이죠?

우선, GA4 무료 버전의 경우 생성할 수 있는

맞춤 측정 기준과 항목의 개수가 제한되어 있습니다.

 

이벤트 범위 맞춤 측정 기준50개

사용자 범위 맞춤 측정 기준25개

맞춤 측정항목50개

그러니 우선 여러분들이 진짜 만들어야 하는

상황인지를 꼭 확인해 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해당되는 측정 기준 혹은 측정항목이 있다면

그대로 적용하시는 것이 더 이득이니까요.

 

 

 

 

맞춤 측정 기준 만드는 방법

여러분 캠페인 설정에서 안내드렸던

UTM 태그 다들 기억하고 계시죠?

구글 애널리틱스 4에서는 이 태그들을

활용해 데이터를 수집하기 때문에

맞춤 측정 기준을 설정하려면 태그를

생성하여 심어주셔야 합니다.

 

태그는 GTM에서 설정할 수 있으니

Google Tag Manager로 이동해 주세요!

> Google Tag Manager 바로 가기

 

출처 : 구글 태그 매니저

 

[태그][새로 만들기][태그 구성]

[GA4 이벤트]로 이동하신 후에

여러분들에게 필요한 조건대로 태그를

설정해 주시면 되는데, 제시요의 경우

이벤트를 구성 태그로 설정하여

매개변수까지 설정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출처 : 구글 애널리틱스

 

이렇게 태그 설정이 완료되었다면

다시 구글 애널리틱스 4로 돌아와서

[관리][속성][맞춤 정의]

[맞춤 측정 기준 만들기]로 이동해서

설정해 주시면 되는데 범위의 경우에는

여러분들이 기준으로 삼고 계신 걸

택해주신다고 생각해 주시면 됩니다.

*사용자가 기준이면 사용자 해주세요.

 

그럼 이렇게 여러분들이 생성해 주신

맞춤 측정 기준이 저장된답니다.

 

 

 

 

맞춤 측정항목 만드는 방법

출처 : 구글 애널리틱스

 

맞춤 측정 기준을 만드셨다면 바로 옆에

[맞춤 측정항목]으로 이동하신 후

[맞춤 측정항목 만들기]를 클릭해 주세요.

 

그럼 맞춤 측정 기준 만들었을 때처럼

필요 항목들을 설정할 수 있게 되는데

이를 전부 설정하시고 나면 측정항목

역시 맞춤으로 제작이 가능해집니다.

 

저장해 주시면 생성된 측정항목도

확인해 주실 수 있는데, 측정항목의 경우

맞춤으로 생성할 일이 많지 않으니

어떻게 하는지 정도만 알고 계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이렇게 구글 애널리틱스4 측정 기준과 측정항목에

관하여서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았습니다.

보고서 종류도 워낙 많고 어떻게 설정하느냐에

따라서 볼 수 있는 데이터들에서도 차이가

분명하다 보니 많은 분들이 측정 기준과 항목에

대해 많이 헷갈려 하시는데 오늘의 포스팅을

참고하시면서 GA4의 보고서를 더욱 다양하게

활용해 보시기 바랍니다.

 

 

IT 외주 개발 중개 플랫폼 제시요,

▶ 프로젝트 개발 니즈 맞춤형 개발사 매칭.

▶ 성공 가능성을 향상시키는 기획 컨설팅.

▶ 소통을 돕는 개발 모니터링.

보편적인 외주 개발 프로세스에 제시요만의

서비스들을 더해 외주 개발의 효과를 더욱

향상시켰습니다. 제시요의 서비스가

궁금하시다면 언제든지 문의 부탁드립니다.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