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구글 애널리틱스 4를 사용하는 이유는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하기 위함입니다.
이러한 용도에 충실하기 위해 GA4는
실시간 / 트래픽 / 인구통계 보고서 등
다양한 기본 제공 보고서를 통해 데이터를
보여주기도 하고 직접 커스텀 하는 방식으로
보고서를 제작하여 데이터를 볼 수 있게
해놓기도 했죠.(세그먼트를 추가하는 등)
그중에서도 [구글 애널리틱스 탐색 보고서]에
대해서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볼 겁니다.
1. 구글 애널리틱스 4의 핵심 기능 중 하나.
2. 데이터를 시각화하고 분석할 수 있어서.
3. 자유 형식 / 유입 경로 / 세그먼트 / 사용자 등
제작할 수 있는 보고서 형태가 다양하기 때문.
이렇게 세 가지의 이유로 인해 [탐색 보고서]를
소개 드리기로 마음먹었습니다.
말씀드린 대로, 구글 애널리틱스 탐색 보고서
자체가 또 다른 분류로 나눠지기 때문에
정리해서 안내드려도 내용이 방대하게
느껴지실 수 있으니 이 점 참고하셔서
포스팅 봐주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자유 형식 탐색 보고서
★ GA4의 자유 형식 탐색 보고서는
UA 버전의 맞춤 보고서입니다. ★
그렇기 때문에 이전에 UA 버전을 사용해 봤고,
맞춤 보고서도 생성해 본 경험이 있으신 분들은
특히나 사용함에 있어서 어려움이 적으실 겁니다.
기능은 크게 바뀌지 않았지만, UI 적인
면에서의 변화가 크기 때문에 기능의 위치를
익히시는 데 시간이 걸리실 거예요.
그러니 우리가 사용할 기능들의 위치와
그들이 하는 역할에 대해서 먼저
이해하고 넘어가는 시간을 가져볼게요.
1. 변수
UA 버전에서 맞춤 보고서를 생성할 때
사용했던 세그먼트, 측정 기준, 측정항목이
바로 첫 번째 [변수]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목록을 보시면 아시겠지만,
세그먼트를 생성한다거나 측정 기준 / 항목을
추가하는 것들은 우리가 전부 직접 할 수 있고,
기간을 설정한다거나 탐색 분석의 이름을
설정하는 것들 역시 직접 할 수 있기 때문에
봤을 때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방향으로
설정해두시면 사용이 훨씬 편리할 것입니다.
2. 탭 설정
탭 설정 = 기법을 변경할 수 있는 영역이다.
이렇게 이해하고 계시면 좋습니다. 예를 들어서
- 세그먼트 중복 분석을 하는 영역.
- 데이터 노출 형태를 시각화하는 영역.
- 1번 변수 영역에서 설정한 세그먼트나
측정 기준 / 항목들을 탭 영역으로
이동하는 것도 전부 가능한 영역.
말 그대로, 자유롭게 탭을 구성하는 영역입니다.
3. 자유 형식
실제로 데이터가 나타나는 영역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모든 설정을 완료했을 때
자유 형식에 데이터가 나타나지 않는다면
측정 기준과 항목이 매치되는 것이 아니니
연결되는 기준과 항목으로 수정해 주셔야
제대로 데이터 수집이 가능하십니다.
오른쪽에 있는 버튼을 클릭하시면
보고서를 복제하는 것도 가능하고,
보고서를 추가해 다른 형태의 보고서를
새로 생성하시는 것도 가능하니
이 점도 참고하시면 좋을 듯합니다.
4. 편의 기능
GA4에는 [뒤로 가기]가 없습니다. 모르셨죠?
그 대신 편의 기능이 따로 준비되어 있어서
실행 취소나 재실행이 가능하게 되어있어요.
이러한 액션이 가능한 영역이 바로 [편의 기능]
편의 기능을 사용하시게 되면 데이터를
다양한 문서 형식으로 내보내는 것도 되고,
읽는 용도로 공유도 가능하기 때문에
팀원들과의 소통도 편하게 할 수 있어요.
자유 형식 보고서 만들기
자, 이제 탐색 기능으로 무엇을 할 수 있는지
구글 애널리틱스 탐색 보고서는 어떤 것들로
구성되어 있는지 각 구성 요소들은 어떻게
사용하는 것인지에 대해서 전부 익혔으니
이제 자유 형식 보고서를 직접 만들어보면서
사용법을 제대로 익혀볼게요.
지금부터 우리는 데이터 분석과 인사이트 도출을
위해 보고서를 생성해야 한다고 가정했을 때
- 기간은 4월 한 달.
- 웹 접속량.
- 사용자들이 분포되어 있는 국가.
- 사용자들이 사용하는 기기.
해당 조건들에 맞게 구성요소를 설정하여
보고서를 생성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탐색]으로 먼저 이동해 주신 후
변수 영역에서 보고서 이름부터 알아보기
쉽게 [사용자 - 기기 및 국가]로 변경 설정
해주도록 하겠습니다. (변수 영역입니다.)
이때 우리에게 필요한 데이터 기간도
설정해 주셔야 하는데, 4월 한 달간의
데이터를 보겠다고 했으니 4월로
기간도 설정을 완료해 줄게요.
이제 데이터를 분류해 줄 측정 기준 / 항목을
설정해 주셔야 하는데, 앞에서 말씀드린 것처럼
두 가지가 연결되지 않으면 안정적인 데이터
수집이 불가능하다는 점을 항상 기억하시고
연결 지을 수 있는지 생각해서 설정해 주세요.
우리가 수집하려고 하는 데이터는
사용자들의 국가와 기기입니다. 그러니,
측정 기준은 활성 사용자로
측정 항목은 기기 카테고리와 국가로
설정해 주시면 되겠네요.
변수 영역에서 설정한 측정 기준과 항목을
탭 설정 영역에도 그대로 드롭하여 설정하셨을 때
데이터 설정에 문제가 없다면 자유 형식란에
보고서의 형태로 데이터가 설정될 겁니다.
*GA4에서 제공할 수 있는 데이터의 양은
행 500 / 열 20열이라는 점을 참고하세요.
만약 데이터가 중간에 생략된 것 같다면
중첩된 행을 Yes로 설정하여 가려진
데이터도 보이게 설정해 주시면 됩니다.
이렇게 구글 애널리틱스 탐색 보고서에
대해서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았는데요,
오늘 안내드린 자유 형식 보고서는
탐색 보고서 중 가장 기본적이지만
가장 많이 자주 사용하게 될 보고서이니
사용법을 꼭 기억하고 계시는 것이 좋아요.
또한, 안정적인 데이터 수집을 위하여
측정 기준과 항목을 연결 지어서 외워두는 것도
유연한 사용에 도움을 주니 꼭 기억하세요.
구글 애널리틱스 탐색 보고서에 대해 안내드린
제시요는 IT 아웃소싱 중개 플랫폼입니다.
▶ 매칭 = 검증된 개발사만 맞춤형으로 진행.
▶ 기획 = 컨설팅 제공으로 더욱 디테일하게.
▶ 개발 = 모니터링 시스템을 통해 분명하게.
부담과 불안감을 대폭 감소시킨 IT 아웃소싱을
경험해 보고 싶으시다면 언제든지 제시요로!
구글 애널리틱스 세그먼트 사용자 탐색 보고서 생성하기 23편 (1) | 2023.05.10 |
---|---|
구글 애널리틱스 4 탐색 보고서 경로 탐색 방법 알아보기 22편 (0) | 2023.05.09 |
구글 애널리틱스 4 기여 분석 하는 법과 기여 모델 알아보기 20편 (0) | 2023.05.03 |
구글 애널리틱스 4 구글 신호 데이터 수집하는 방법 알아보기 19편 (0) | 2023.05.02 |
구글 애널리틱스 채널 그룹 생성 및 분석하는 방법 알아보겠습니다 18편 (1) | 2023.04.28 |
댓글 영역